문제:네트워크

라우터(문제&정답)

rabbit-jun 2025. 4. 17. 23:42
  1. 라우터가 동작하는 OSI 7계층은 어디인가요?
    a) 물리 계층
    b) 데이터 링크 계층
    c) 네트워크 계층
    d) 전송 계층
  2. 라우터의 주요 기능은 무엇인가요?
  3. 다음 중 라우터의 기본 설정으로 확인할 수 없는 정보는?
    a) IP 주소
    b) 서브넷 마스크
    c) MAC 주소
    d) 기본 게이트웨이
  4. ipconfig 명령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정보로 알맞은 것은?
    a) 내 컴퓨터의 MAC 주소
    b) 내 컴퓨터의 서브넷 마스크
    c) 라우터의 운영체제
    d) 다른 컴퓨터의 IP

 

  1. 라우팅 테이블이 필요한 이유를 간단히 서술하시오.
  2. 아래 중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 해당하는 IP 주소 조합은?
    a) 192.168.1.10 /24 – 192.168.1.50 /24
    b) 192.168.1.10 /24 – 192.168.2.10 /24
    c) 192.168.10.5 /16 – 192.168.20.6 /16
    d) 192.168.0.1 /24 – 192.168.0.254 /24
  3. 컴퓨터1(192.168.35.2)이 컴퓨터5(192.168.36.3)에게 데이터를 보내기 위한 경로는?
    a) 바로 전달 가능
    b) 라우터의 게이트웨이 필요
    c) 같은 네트워크라 스위치만 필요
    d) DNS 서버를 통해 전달
  4. 다음 중 라우팅 테이블에 등록되지 않은 목적지 IP에 대한 기본 동작은?
    a) 패킷 폐기
    b) 기본 게이트웨이로 전달
    c) DNS 조회
    d) 패킷 브로드캐스트
  5. route print 명령어를 사용하면 어떤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가?
  6. 라우팅 테이블 등록 방식 중 수동 방식의 장단점을 하나씩 쓰시오.

✅ 정답 및 해설

  1. c) 네트워크 계층
    → 라우터는 OSI 3계층, 즉 네트워크 계층에서 동작
  2.  
    • IP 기반으로 패킷을 목적지까지 전달하는 경로를 설정하는 것
    • 다른 네트워크 간 통신을 가능하게 함
  3. c) MAC 주소
    → 라우터의 기본 설정에서는 일반적으로 MAC 주소는 표시되지 않음
  4. b) 내 컴퓨터의 서브넷 마스크
    ipconfig를 통해 IPv4, 서브넷 마스크, 기본 게이트웨이 확인 가능
  5.  
    • 목적지 IP에 따라 어떤 경로로 패킷을 보낼지 결정하기 위해 필요함
    • 최적의 경로 선택 및 네트워크 구간 설정
  6. b) 192.168.1.10 /24 – 192.168.2.10 /24
    → 세 번째 옥텟이 다르므로 다른 네트워크
  7. b) 라우터의 게이트웨이 필요
    → 서로 다른 네트워크이기 때문에 게이트웨이(라우터)를 거쳐야 함
  8. b) 기본 게이트웨이로 전달
    → 라우팅 테이블에 없다면 기본 게이트웨이로 전달해 다음 경로를 찾음
  9.  
    • 현재 PC의 IPv4/IPv6 라우팅 테이블
    • 목적지,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 등 확인 가능
    1. 장점: 단순하고 네트워크 흐름을 예측 가능
    2. 단점: 규모가 커질수록 관리가 복잡하고 실수 발생 가능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