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프로토콜의 기능

rabbit-jun 2025. 4. 17. 23:55

프로토콜의 기능

기능 내용
연결 제어 비연결 데이터 전송과 연결 위주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로를 개설,유지,종결
흐름 제어 데이터양이나 통신 속도 등이 수신 측의 처리 능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조정
오류 제어 데이터 전송 중 발생할 수 있는 오류나 착오 등을 검출하고 정정
순서 결정 연결 위주의 데이터를 전송할 때 송신 측이 보내는 데이터 단위 순서대로 수신 측에 전달
주소 설정 발생지, 목적지 등의 주소를 명기하여 데이터를 정확하게 전달
동기화 두 통신 객체의 상태(시작, 종류, 검사 등)를 일치시킴
다중화 하나의 통신로를 여러 개로 나누거나 회선 여러 개를 하나의 통신로로 변환
전송 서비스 통신 객체를 사용하기 쉽도록 별도의 추가 서비스(패리티 검사, 보안 등)를 제공

프토콜의 구성 요소

요소 내용
구문(Syntax) 데이터 형식, 부호화, 신호 계층(Signal Level)로 구성
의미(Semantic)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객체 사이의 협조 항목과 오류를 제어하는 항목
타이밍(Timing) 접속하는 객체 사이의 통신속도 조정, 메시지 순서 제어, 데이터 전송 시기 제어

ARP와 RARP

  • 인터넷 모델에서 사용하는 주소
  • 데이터 링크 계층의 MAC주소, 네트워크 계층의 IP주소, 전송 계층의 포트 번호
  •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수신 호스트의 IP 주소를 이용해 MAC 주소를 구하는 기능이 필요한데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 )가 이 기능을 담담
    • ARP는 IPv4에서만 사용, IPv6에서는 Neighbor Discovery Protocol(NDP)를 사용함
  • 파일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는 특수 목적의 시스템은 LAN 카드에 내장된 자신의 MAC주소는 알지만, 자신의 IP주소는 모르는 경우가 있음, 이 때 MAC 주소를 IP주소로 변환하는 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 (RARP)가 필요.
    • RARP는 현재 거의 사용되지 않음. 대신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가 주로 사용됨
  • Media Access Control (MAC): 컴퓨터가 만들어질 때 가지는 물리적 주소(전세계에서 그 기기 하나만 유일하게 가지고 있는 주소)

프로토콜

ICMP

  •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인 IP가 동작하는 과정에서는 전송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오류 발생 알림, 진단 및 제어 메시지를 전달
  • 예: ping, traceroute 명령어가 ICMP를 이용함

TCP/IP 그리고 UDP

  •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TCP)과 Internet Protocol(IP)는 컴퓨터 사이의 통신 표준 및 네트워크 라우팅 및 상호 연결에 대한 자세한 규칙을 의미
  • TCP: 주로 외부로 데이터 전송할 떄 사용하며 보안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정보 전달 통제
    • 연결형, 신뢰성 있음, 흐름 제어, 혼잡 제어, 순서 보장
  • IP: 컴퓨터 고유주소, IPv4(현재 주로 사용),IPv6 존재
  • UDP: 내부망에서 주로 사용하며 비연결형, 빠름, 신뢰성 없음, 순서 보장 안 됨, 실시간 데이터 전송에 유리 (예: 게임, 영상 스트리밍)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