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기

인프런 강의 fastAPI 섹션 2 정리

rabbit-jun 2025. 7. 26. 09:39


FastAPI의 장점

1. 빠르고 간결한 비동기 Python 웹 프레임워크

2. 타입 힌트를 활용한 코드 작성 Pydantic 기반의 데이터 검증과 이를 통한 자동 Swagger 문서 생성 

3. 구조가 유연하고, 비동기 처리가 간편

 

FastAPI는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에서 사용됨

URL을 통해 자원의 위치를 표현하고, GET, POST, PATCH, DELETE 등의 메서드를 통해 다양한 동작을 정의한다.

 

API는 리모컨처럼 내부 동작을 몰라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다. 사용자는 URL로 요청을 보내면, 서버는 그에 맞는 처리를 한 뒤 응답을 반환한다.

 

HTTP 상태코드는 주요히 200번대(성공), 400번대(클라이언트 오류), 500번대(서버 오류)로 나뉘며, 예시는 다음과 같다:

  • 200 OK: 요청 성공
  • 201 Created: 자원 생성됨
  • 204 No Content: 성공했지만 응답 본문 없음
  • 400 Bad Request: 잘못된 요청
  • 401 Unauthorized: 인증 실패
  • 403 Forbidden: 권한 없음
  • 404 Not Found: 자원 없음
  • 500 Internal Server Error: 서버 내부 오류
  • 502 Bad Gateway: 프록시 서버 문제
  • 503 Service Unavailable: 서버가 처리 불가능한 상태

오류 응답을 처리할 때는 다음과 같이 HTTPException을 사용한다:

raise HTTPException(status_code=404, detail="Item not found")
 
 

POST 메서드 예시는 다음과 같다:

@app.post("/todos/{todo_id}")
def handler(todo_id: int):
    return {"todo_id": todo_id}

 

 

 

후기

 

나태하고 게으른 성격이 항상 발목을 잡는다 해야지 하면서 토이프로젝트도 미루고 미루고 자격증 공부도 계속 미루게 된다..
완벽하고 잘하고 싶은 마음은 항상 있지만 계속 오늘은 날이 아니라면 미루게 된다...

그래서 그냥 대충 하기로 했다.

멋지게 안꾸미고 그냥 대충 아는걸 정리하면서 하기로 했다...

난 멋쟁이는 못될 운명인가 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