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통신

rabbit-jun 2025. 3. 12. 16:50

데이터 통신의 구성요소

  1. 송신자(Sender)와 수신자(Receiver)
    • 송신자: 서버, Transmitter(Tx), source(src)
    • 수신자: 클라이언트, Receiver(Rx), destination(dst)
      • Tx와 Rx에서 x는 don't care을 의미,즉 의미가 없음
      • 서버와 클라이언트는 대체로 송신자와 수신자 역할이라는 거지 항상 그런건 아님
  2. 메시지(Message): 송신자가 수신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 있는 정보' 자체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ex: 정수, 실수, 문자열, bool, 이미지, 영상, 오디오 등)
  3. 프로토콜(Protocol): 데이터 통신을 위한 규칙의 집합 (ex: TCP/IP, HTTP, FTP, DNS, DHCP)
  4. 전송 매체(Transmission Medium): 메시지가 전달되는 물리적 경로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의 발전

  • 통신의 시작은  전기를 이용해 먼 곳으로 신호를 보낸 것이였다. (전파 통신).
  • 이후 전화기가 발명되면서 음성 신호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통신하는 방식이 개발됨.
    • 음성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Analog-to-Digital Converter (ADC) 사용
    • 초기 전화기는 일대일 연결만 가능했으며, 두 단말을 연결하는 방식을 회선 교환(Circuit Switching)이라고 함.

 

유선통신

  • 저속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직렬 통신(Serial Communication),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병렬 통신(Parallel Communication) 방식이 개발됨.
  • 하지만 장거리 전송에서는 직렬 통신이 더 선호됨 (신호 간섭 문제로 인해).
  • 유선 통신은 무선 통신에 비해 안전하고 빠르다는 장점이 있음.

 

무선통신

  • 셀룰러 폰의 등장으로 무선 통신 연구가 본격화됨.
  • 와이파이(Wi-Fi, IEEE 802.11), 블루투스(Bluetooth), NFC 등의 다양한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이 발전함.
  • 셀룰러 네트워크는 2G → 3G → 4G (LTE) → 5G로 발전하며 고속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짐.

 

인터넷

  •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함.
  • 주요 프로토콜:
    •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 담당
    • IP (Internet Protocol): 목적지 주소 지정 및 패킷 라우팅 담당
    • 두 프로토콜을 합쳐서 TCP/IP 프로토콜라고 함.

 

정보통신 기술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 정보 처리 기술(IT) + 통신 기술(CT)의 결합
  • 다양한 단말 장치를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데이터를 전송, 처리, 교환하는 기술.
  • 좁은 의미로는 데이터 통신을 의미함.

 

통신 기술

  • 정보의 송신자(Source)수신자(Destination) 사이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기술.
  • 단방향 통신 (One-way Communication)
    • Ex) TV, 라디오 (ACK 필요 없음)
  • 양방향 통신 (Two-way Communication)
    • Ex) PC 네트워크 (ACK 필요함)

 

컴퓨터의 세대별 분류

  1. 제 1세대: 진공관 사용, 기계어 (Machine Language) 프로그래밍.
  2. 제 2세대: 트랜지스터 사용, 어셈블리어 및 초기 고급 언어 (BASIC, FORTRAN, COBOL 등).
  3. 제 3세대: 집적 회로 (IC, Integrated Circuit) 사용.
  4. 제 4세대: 대규모 집적 회로 (LSI, VLSI) 사용 → 개인용 컴퓨터(IBM PC, Apple II) 등장.

 

컴퓨터 유형의 분류

1. 서버(Server)와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 서버(Server): 다수의 사용자를 동시에 지원하는 고성능 컴퓨터.
  •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고성능 데스크톱 컴퓨터 (현재 PC 성능이 워크스테이션과 유사).

2. 모바일 컴퓨터(Mobile Computer)

  • 휴대성이 강조된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울트라북 등).
  • 다양한 무선 통신 기능 내장 (Wi-Fi, LTE, 5G, Bluetooth 등).
  • 각종 센서 포함 (GPS,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등).

3. 임베디드 컴퓨터(Embedded Computer)

  • 특수 용도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칩이 가정용 기기 또는 가전제품에 내장
  • Ex) 스마트 가전,  손목시계, 장난감,... 등
  • 저전력, 소형화, 경량화가 주요 특징.

 

 

무선 통신 기술

기술 특징
Wi-Fi 무선 LAN (WLAN) 기반, 인터넷 연결
Bluetooth 근거리 무선 데이터 전송
NFC 초근거리 (10cm 이내) 통신
셀룰러 (LTE, 5G) 이동 통신망 기반 데이터 전송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