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문제&정답)
2025. 4. 17. 11:11ㆍ문제:네트워크
1. 송신자(Sender)와 수신자(Receiver)의 개념과 예시를 각각 서술하시오.
2. 메시지(Message)는 어떤 목적을 가진 데이터인가요?
3. 데이터 통신에서 사용되는 규칙의 집합을 무엇이라 하는가?
4. 메시지가 전달되는 물리적 경로를 무엇이라 하나요?
5. 초기 통신에서 전기를 사용해 먼 거리로 신호를 보낸 방식은 무엇이었나요?
6. 전화기의 등장 이후, 음성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데 사용된 장치는?
7. 회선 교환(Circuit Switching)이 사용되었던 초기 통신 구조의 특징은?
8. 유선 통신에서 장거리 전송에 직렬 통신이 선호되는 이유는?
9. 셀룰러 통신 기술은 어떤 특징이 있는가?
10. 인터넷은 데이터를 어떤 방식으로 전송하는가?
11. TCP의 주요 역할은 무엇인가요?
12. 정보통신기술(ICT)의 개념을 서술하시오.
13. 통신 기술에서 단방향 통신과 양방향 통신의 차이를 간단히 설명하시오.
14. 컴퓨터의 각 세대별로 사용된 기술과 주요 특징을 간략히 서술하시오.
15. 서버, 모바일 컴퓨터, 임베디드 컴퓨터는 어떤 목적과 특징을 가지고 사용되는가?
16. 서버(Server)와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 다음 보기 중 서버의 정의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① 다수의 사용자를 동시에 지원하는 고성능 컴퓨터
② 휴대성이 강조된 컴퓨터
③ 센서 기반 소형 시스템
④ 인터넷 접속용 장치
17. 모바일 컴퓨터(Mobile Computer)
- 모바일 컴퓨터는 __이 강조된 컴퓨터이다. (빈칸 채우기)
18. 임베디드 컴퓨터(Embedded Computer)
- 다음 중 임베디드 컴퓨터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스마트 가전에 내장될 수 있다
② 소형화 및 저전력 설계가 특징이다
③ 고성능 서버급 연산 처리를 위한 장비이다
④ 손목시계, 장난감 등에 활용될 수 있다
✅ 정답
- 송신자: 데이터를 보내는 측 (예: 서버, Transmitter, source)
수신자: 데이터를 받는 측 (예: 클라이언트, Receiver, destination) - 의미 있는 정보를 수신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
- 프로토콜
- 전송 매체
- 전파 통신
- ADC (Analog-to-Digital Converter)
- 단말 간 전용 회선을 연결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방식
- 병렬 통신보다 신호 간섭이 적고 신뢰성 있게 전송되기 때문에
- 2G → 3G → 4G → 5G로 발전하였으며, 고속 데이터 전송과 연결성 개선이 특징이다
-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
-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
→ TCP는 데이터의 순서와 무결성을 보장한다. - IT(정보 처리 기술) + CT(통신 기술)의 결합으로 다양한 단말 장치를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데이터를 전송, 처리, 교환하는 기술좁은 의미에서는 데이터 통신을 의미한다.
- 단방향 통신은 송신만 가능하며 응답 없음(예: 라디오),
양방향 통신은 송수신 가능하며 ACK 신호를 주고받는다(예: PC 네트워크)
- 1세대: 진공관 사용, 기계어
- 2세대: 트랜지스터 사용, 어셈블리어
- 3세대: 집적 회로 사용
- 4세대: 대규모 집적 회로 사용, 개인용 컴퓨터 등장
- 서버: 다수 사용자 지원, 고성능
- 모바일 컴퓨터: 휴대성과 무선 통신 중심
- 임베디드 컴퓨터: 특정 기능, 소형/저전력/내장형
- ① 다수의 사용자를 동시에 지원하는 고성능 컴퓨터
- 휴대성
- ③ 고성능 서버급 연산 처리를 위한 장비이다
→ 이는 서버의 특징이며, 임베디드는 소형·저전력·특수 목적에 최적화된 시스템이다.
반응형
'문제: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설IP와 공인IP(문제&정답) (0) | 2025.04.17 |
---|---|
서브넷 마스크(문제&정답_2) (0) | 2025.04.17 |
서브넷 마스크(문제&정답) (0) | 2025.04.17 |
인터넷 프로토콜과 주소체계(문제&정답) (0) | 2025.04.17 |
통신의 이해와 확장(문제&답) (0) | 2025.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