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97)
-
docker
mysql의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해야 하는데 안된다. docker run -p 3306:3306 -e MYSQL_ROOT_PASSWORD=todos -e MYSQL_DATABASE=todos -d -v todos:/db --name todos mysql:8.0 docker run도커 컨테이너를 실행하고, 없으면 이미지를 자동으로 다운로드-p 3306:3306호스트의 3306포트 → 컨테이너의 3306포트로 연결→ FastAPI나 다른 앱이 localhost:3306으로 접속하면 도커 MySQL에 닿도록-e MYSQL_ROOT_PASSWORD 루트 계정 비밀번호가 설정됨-e MYSQL_DATABASE=todos컨테이너 시작 시 todos라는 이름의 DB를 자동 생성-d백그라운드(detached) 모드로..
2025.07.29 -
fastAPI 세션3(ORM)
ORM(Object Relational Mapping)은 파이썬 객체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을 매핑해주는 기술로, SQL을 직접 작성하지 않고도 파이썬 코드로 데이터를 조회, 추가, 수정, 삭제할 수 있게 해준다. SQLAlchemy에서는 Session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와의 연결 및 트랜잭션을 관리한다.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수정할 때는 아래와 같이 사용한다: session.add(todo) # 새 객체를 세션에 추가session.commit() # 변경 내용을 DB에 반영session.refresh(todo) # DB에서 다시 읽어 반영된 값을 객체에 채움return todo 삭제할 때는 SQLAlchemy의 delete() 함수를 사용하여 쿼리를 생성하고 실행한다:def d..
2025.07.26 -
인프런 강의 fastAPI 섹션 2 정리
FastAPI의 장점1. 빠르고 간결한 비동기 Python 웹 프레임워크2. 타입 힌트를 활용한 코드 작성 Pydantic 기반의 데이터 검증과 이를 통한 자동 Swagger 문서 생성 3. 구조가 유연하고, 비동기 처리가 간편 FastAPI는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에서 사용됨URL을 통해 자원의 위치를 표현하고, GET, POST, PATCH, DELETE 등의 메서드를 통해 다양한 동작을 정의한다. API는 리모컨처럼 내부 동작을 몰라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다. 사용자는 URL로 요청을 보내면, 서버는 그에 맞는 처리를 한 뒤 응답을 반환한다. HTTP 상태코드는 주요히 200번대(성공), 400번대(클라이언트 오류), 500번대(서버 오류)로 나뉘며, 예시는 다음과 같다:200 OK: 요청 ..
2025.07.26 -
웹소켓을 이용한 실시간 채팅 회고록
학교 수업으로 진행했던 프로젝트웹소켓을 이용하여 실시간 주식 차트를 공유하며 채팅하는 웹 플렛폼을 완성했다솔직히 초반에는 엄청 만만하게 봤지만 결코 그렇지 않았다.처음하는 것들이 대부분이었기에 쉽지 않은 여정이었다. 어려웠던 점1. 커뮤니케이션카카오톡방을 만들고 디스코드에 팀원을 초대할 때까지만 해도 정말 의욕이 불타 올랐다.그러나 곧 카톡방은 조용해졌고 디스코드는 회의 할때만 사용하게 됐다.역할은 첫날에 정했으나 서로 뭘 하는지 어디까지 했는지도 모르고 그냥 진행했다. 이렇게 진행하니 괜히 나혼자만 일하는 기분이 들었던게 첫 번째 문제요나중에 합칠려니 이 사람의 어디다가 연결해야 하는지 모르겠는게 두 번째 문제였다. 2.인적재원 관리팀장으로서 프로젝트를 총괄하는게 처음이였다.더군다나 협업 자체도 처음이..
2025.06.23 -
문제: React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2025.05.16 -
문제:무선랜(1)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2025.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