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링크 계층(문제&답)
2025. 4. 18. 13:24ㆍ문제:네트워크
- 정보와 데이터의 차이를 간단히 서술하시오.
- 흐름 제어가 필요한 이유를 설명하시오.
- 정지 대기 방식의 특징으로 올바른 것을 고르시오.
a) 송신 측은 여러 프레임을 동시에 전송한다
b) 수신 측이 오류를 감지하면 스스로 수정한다
c) 하나의 프레임 전송 후, ACK 수신 전까지 대기
d) 전송 효율은 매우 높다
- 슬라이딩 윈도 방식의 동작 방식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시오.
- 흐름 제어 방식 중 대표적인 두 가지 방식을 쓰시오.
- 검출 후 재전송(ARQ) 방식의 작동 원리에 대해 서술하시오.
- 다음 중 ARQ 방식에 해당하는 것은?
a) 전진 오류 수정 방식
b) 슬라이딩 윈도 방식
c) 패리티 검사 방식
d) 해밍 부호 방식
- FEC 방식이 유리한 환경은?
a) 단방향 방송 시스템
b) 실시간 쌍방향 채팅
c) ACK/NAK 교환이 쉬운 환경
d) 패킷 손실이 거의 없는 유선 환경
- 정지 대기 ARQ 방식의 전송 흐름에서 수신 측의 역할은 무엇인가?
- 연속적 ARQ 방식의 장점은 무엇인가?
- Go-Back N ARQ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a) 오류 발생 시 해당 프레임 이후 모두 재전송
b) 순서 번호를 프레임에 부여
c) 오류 프레임만 재전송
d) 윈도우 크기만큼 프레임 전송 가능
- 선택적 ARQ 방식의 단점으로 올바른 것은?
a) 오류 프레임만 재전송하므로 효율이 낮다
b) 프레임 재정렬을 위한 복잡한 로직이 필요하다
c) 수신 측은 ACK을 보내지 않는다
d) 모든 프레임을 다시 전송해야 한다
✅ 정답 및 해설
- 정보는 의사결정에 도움이 되는 지식이고, 데이터는 가공되지 않은 원시적인 값이다.
- 송신 측과 수신 측의 처리 속도가 다를 때, 수신 측이 감당 가능한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하다.
- 정답: c) 하나의 프레임 전송 후, ACK 수신 전까지 대기
→ 정지 대기 방식은 가장 기본적인 방식으로, 프레임 단위로 전송-응답 반복을 수행. - 데이터를 전송할 때 송신 측에서 한 번에 윈도 크기만큼 프레임을 연속해서 전송하고 수신 측에서는 적절한 간격으로 이 윈도 크기의 개수만큼 크기를 조절하여 송신 측에 통보
- 정지 대기 방식, 슬라이딩 윈도 방식
- 오류가 발생하면 수신 측이 NAK를 보내 송신 측이 해당 프레임을 재전송하게 하는 방식이다.
- 정답: b) 슬라이딩 윈도 방식, c) 패리티 검사 방식
→ 슬라이딩 윈도는 흐름 제어 방식이면서 ARQ 방식(Go-Back N, Selective Repeat)의 기반이 되는 방식이다. - 정답: a) 단방향 방송 시스템
→ 다수 수신자에게 재전송이 불가능한 환경에서 유리. - 수신 측은 수신한 프레임이 정상인지 확인하고, ACK(정상) 또는 NAK(오류)를 송신 측에 회신한다.
- 여러 개의 프레임을 연속으로 전송할 수 있어 전송 효율이 높다.
- 정답: c) 오류 프레임만 재전송
→ 이는 Selective ARQ의 특징이고, Go-Back N은 오류 발생 프레임 이후 전부 재전송함. - 정답: b) 프레임 재정렬을 위한 복잡한 로직이 필요하다
→ 선택적으로 수신되기 때문에 순서 정렬이 필요하다.
반응형
'문제: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LAN의 구성요소:통신 소프트웨어(문제&정답) (0) | 2025.04.18 |
---|---|
근거리 통신망(문제&답) (0) | 2025.04.18 |
라우터(문제&정답) (0) | 2025.04.17 |
인터넷 프토토콜과 주소체계(문제&정답) (0) | 2025.04.17 |
사설IP와 공인IP(문제&정답) (0) | 2025.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