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거리 통신망(문제&답)

2025. 4. 18. 13:34문제:네트워크

  1. 다음 중 도시 하나 정도의 범위를 연결하며 고속 통신이 가능한 네트워크 유형은?
    a) LAN
    b) MAN
    c) WAN
    d) PAN
  2. WAN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a) 인공위성을 이용한 통신 가능
    b) 보통 10km 이상의 범위를 연결
    c) 점대점 방식이 아닌 브로드캐스트 방식 사용
    d) 원격지 간의 통신에 적합

 

  1. 근거리 통신망의 정의에 대해 간단히 서술하시오.
  2. 근거리 통신망의 전송 매체로 가장 적절한 것은?
    a) 위성 링크
    b) 광섬유 또는 무선 LAN
    c) 전화선
    d) 모뎀 케이블

 

  1. 다음 중 근거리 통신망의 목적 또는 기능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a) 자원 및 부하 공유
    b) 성능 향상 및 응답성 개선
    c)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보안성 강화
    d) 다양한 정보기기 간의 상호 연결

 

  1. 근거리 통신망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a) 전송 거리가 짧고 고속 전송 가능
    b) 오류 발생률이 낮음
    c) 단일 기관이 아닌 여러 기관에서 함께 사용
    d) 텍스트, 음성, 이미지 등 다양한 데이터 전송 가능

 

  1. 다음 중 이더넷(LAN)의 표준화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은 것은?
    a) Token Ring 방식이 표준으로 채택됨
    b) CSMA/CD 방식은 확장성이 부족해 도태됨
    c) IEEE에서 1985년에 LAN 표준을 제정
    d) LAN은 유선 연결만을 지원함

 

  1. 서버와 클라이언트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a) 서버는 사용자 중심으로 설계되어 있다
    b) 클라이언트는 독립적으로 모든 기능을 수행한다
    c) 서버는 자원 제공 및 보안 담당
    d) 클라이언트는 정보를 저장하고 공유하는 중심 역할 수행

 

  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a) 전송 매체와의 접속을 담당
    b)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
    c) OSI 3계층에서 동작
    d) LAN 보드 또는 어댑터라고도 불림

 

  1. 신호 변환 장치가 현재 거의 사용되지 않는 이유는?
  2. 다음 중 10 Base-2의 의미로 옳은 것은?
    a) 아날로그 신호로 10Mbps, 거리 2m
    b) 디지털 신호로 10Mbps, 거리 200m
    c) 디지털 신호로 10Mbps, 거리 2m
    d) 아날로그 신호로 2Mbps, 거리 10m

 

  1. 허브(HUB)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a) OSI 1계층 장비이다
    b) 신호를 수신한 후 특정 포트로만 전달한다
    c) 초기 허브는 신호를 증폭·재생하는 역할을 한다
    d)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1. 리피터의 주된 역할은 무엇인가?

 

  1. 브리지와 스위치의 차이점으로 옳은 것은?
    a) 브리지는 포트 수가 많고 속도가 빠르다
    b) 스위치는 포트 수가 적고 속도가 느리다
    c) 브리지는 오래된 장비로 포트 수가 적다
    d) 스위치는 네트워크 계층에서 동작한다

 

  1. 라우터의 주요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a) 다양한 프로토콜 수용
    b) 효율적인 경로 선택
    c)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동작
    d) 내부 네트워크와 외부망 연결

✅ 정답 및 해설

  1. 정답: b) MAN
    → MAN은 도시 범위의 네트워크로, 고속 통신을 지원함.
  2. 정답: c) 점대점 방식이 아닌 브로드캐스트 방식 사용
    → WAN은 일반적으로 점대점 방식 사용.
  3. 가까운 거리 내의 컴퓨터나 정보기기를 고속으로 연결하여 정보 교환이 가능하도록 만든 통신망이다.
  4. 정답: b) 광섬유 또는 무선 LAN
    → LAN은 빠른 전송 속도를 위해 고속 매체 사용.
  5. 정답: c)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보안성 강화
    → 암호화는 보안 기능이지 LAN 자체의 목적은 아님.
  6. 정답: c) 단일 기관이 아닌 여러 기관에서 함께 사용
    → LAN은 일반적으로 단일 기관의 내부망이다.
  7. 정답: c) IEEE에서 1985년에 LAN 표준을 제정
    → 이더넷 표준은 IEEE 802.3에 의해 제정됨.
  8. 정답: c) 서버는 자원 제공 및 보안 담당
    → 클라이언트는 서버 자원을 사용하며, 서버는 중심 역할 수행.
  9. 정답: c) OSI 3계층에서 동작
    → NIC는 OSI 2계층에 해당하는 장비이다.
  10. 최근 장비는 모두 디지털 신호를 사용하므로 별도의 신호 변환이 필요 없다.
  11. 정답: b) 디지털 신호로 10Mbps, 거리 200m
    → n Base-m 규칙에 따라 해석: 10 Mbps 속도, 200m 거리.
  12. 정답: b) 신호를 수신한 후 특정 포트로만 전달한다
    → 허브는 모든 포트로 브로드캐스트한다.
  13. 신호 감쇄를 복원하기 위해 신호를 재생하고 거리 확장을 돕는다.
  14. 정답: c) 브리지는 오래된 장비로 포트 수가 적다
    → 스위치는 포트 수가 많고 고속 처리에 적합.
  15. 정답: c)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동작
    → 라우터는 OSI 3계층인 네트워크 계층에서 동작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