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스케이프 다이어그램 :관계
2025. 4. 19. 13:50ㆍ소프트웨어 공학
관계
1. 액터 -> 유스케이스 관계
- 액터와 유스케이스는 연관 관계로 방향성을 갖는 실선으로 표현
- 화살표 방향은 데이터가 흘러가는 방향이 아니라 제어의 흐름을 나타냄
- 제어하는 주체에서 출발해 제어받는 대상으로 연관 방향이 결정
- 시스템 액터도 유스케이스 제어의 주체가 될 수 있음
- 액터와 시스템 액터 사이, 즉 액터와 액터 사이에도 연관 관계가 존재할 수 있다
2. 유스케이스 -> 액터 관계
- 유스케이스의 수행 결과를 액터에게 알려줄 때는 유스케이스에서 액터로 방향성을 갖는 실선으로 표현
- 유스케이스 -> 액터 관계에서 주의할 사항은 통보 기능이 시스템 내에서 이루어져야 함
-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에서 화살표로 나타냈다면 그 기능을 개발에 포함해야 함
3. 액터의 일반화 관계
- 일반화: 개별적인 것에서 공통적인 특징을 뽑아 이름을 붙인 것( 반대 개념: 특수화)
- 일반화 개념은 액터 사이에 먼저 적용할 수 있다
4. 액터의 일반화 관계
- 간결하게 일반화해 복잡함을 줄이면 이해하기가 쉽고 새로운 액터도 간단하게 추가할 수 있음
5. 포함 관계: 항상 실행되는 공통 기능
- 유스케이스의 일부 기능이 다른 유스케이스에서도 공통으로 필요하다면 이를 별도로 만든 뒤 호출해 사용하는 것
- 피포함 유스케이스: 공통으로 사용하기 위해 별도 유스케이스로 만들어 놓은 것
- 기본 유스케이스: 피포함 유스케이스를 호출하는 유스케이스
- 포함 관계는 화살표 방향이 기본 유스케이스에서 피포함 유스케이스로 향함
- 점선을 사용하고 스테레오 타입으로
<<include>>
라고 표기 - 피포함 유스케이스는 2개 이상의 유스케이스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공통 부분(이벤트 흐름)으로 만들어야 함
- 다른 유스케이스에서 사용하지 않는 기능이라면 포함 관계를 만들지 않아야 함
6. 포함 관계와 선행 관계
- 포함 관계는 선행 조건(유스케이스 명세서 작성 시 필요)과 혼동될 우려가 있음
- ex. 수강신청 유스케이스와 성적조회 유스케이스에서 공통으로 필요한 부분이'로그인'유스케이스라고 오해할 수 있음
7. 확장 관계: 조건부로 실행되는 선택 기능
- 특정 조건이 발생하면 확장 유스케이스를 수행하고 다시 기준 유스케이스를 수행
- ex. 매일이 도착하면 메일을 확인하고 검색하는 과정
- 확장 관계는 점선 화살표로 표기하고 방향은 기준 유스케이스 쪽으로 향함
<<extend>>
라는 스테레오 타입을 사용
- 예외적인 상황이나 어쩌다 한 번 발생하는 것을 확장 관계로 표현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음
반응형
'소프트웨어 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 (0) | 2025.04.15 |
---|---|
UML (0) | 2025.04.13 |
애자일 프로세스 모델 (2) | 2025.04.13 |
소프트웨어 개발 모델 (0) | 2025.04.12 |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 (0) | 2025.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