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 경제 퀴즈
2025. 2. 18. 23:14ㆍ오늘의 경제
기본 개념 문제
- 경제학에서 흔히 말하는 기본적인 경제 문제 세 가지는 무엇인가?
- 탄력성이 큰 상품과 작은 상품의 예시를 각각 하나씩 들어보고, 그 이유를 설명하세요.
- GDP(국내총생산)와 GNP(국민총생산)의 차이점을 설명하세요.
-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의 차이를 설명하고, 각 현상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서술하세요.
- 중앙은행이 경기 침체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통화정책 도구 두 가지를 설명하세요.
- 정부가 최저임금을 급격하게 인상하면 노동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경제학적으로 분석하세요.
.
.
.
.
.
.
답
- 무엇을 생산할 것인가? 어떻게 생산할 것인가? 누구를 위해 생산할 것인가?
- 탄력성은 가격 변화에 대한 수요 변화율을 의미하며 기호식품(사치재)와 생필품(예: 쌀, 물, 전기 등)
- a. GDP(국내총생산): 한 나라의 국경 내에서 생산된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총가치
b. GNP(국민총생산): 국민이 생산한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총가치 (국외 소득 포함, 외국 - 인플레이션은 물가가 오르는 것이고 디플레이션은 물가가 내려가는것을 말한다,
a.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물가가 오르면서 소비 심리가 위축되어 경제가 침체 될 수 있다
b. 디플레이션은 단기적으로 소비자에게 유리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기업이 생산을 줄이고 실업률이 증가하면서 경제가 침체될 가능성이 있음. - a. 금리 인하: 금리를 내리면 대출이 증가하고 소비·투자가 활성화된다
b. 양적완화(QE): 시중에 자금 유동성을 조절하여 신용경색을 완화시킨다. - 고용주가 노동자를 고용하지 않으려는 현상(=실업 증가)은 가능성이 있지만 생산성이 높은 노동자는 더 높은 임금을 받을 수 있어 소비 증가로 이어질 수도 있다.
반응형
'오늘의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장과 정부 개입의 균형 (4) | 2025.02.24 |
---|---|
정부 개입의 한계와 부작용 (2) | 2025.02.21 |
정부의 시장 개입 방식 (0) | 2025.02.20 |
경제 체제 (0) | 2025.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