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4. 18. 13:55ㆍ문제:네트워크
Q1. CSMA에서 'Carrier Sense'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Q2. CSMA는 어떤 상황에서 사용되며, 왜 필요한가요?
Q3. CSMA/CD 방식에서 충돌이 발생했을 때의 동작 과정을 순서대로 서술하세요.
Q4. CSMA/CD 방식은 왜 무선 환경에서 잘 사용되지 않나요?
Q5. CSMA/CA 방식은 어떤 환경에서 주로 사용되며, 어떤 방식으로 충돌을 회피하나요?
Q6. CSMA/CA 방식이 사용하는 대기 방식의 이유는 무엇인가요?
Q7. IEEE 802.3과 IEEE 802.11의 주요 차이점을 설명하세요.
Q8. 다음 중 무선 LAN과 관련된 IEEE 표준은 무엇인가요?
① IEEE802.3
② IEEE802.4
③ IEEE802.11
④ IEEE802.5
Q9. 이더넷 → 고속 이더넷 → 기가비트 이더넷 → 10기가비트 이더넷 순으로 발전하면서 가장 크게 개선된 점은 무엇인가요?
Q10. IEEE802.3u에서 정의한 고속 이더넷 3가지 종류와 그 차이를 설명하세요.
Q11. 무선 LAN에서 사용하는 전송 매체는 무엇인가요?
Q12. 무선 LAN에서 사용되는 3가지 접속 기술의 장단점을 각각 설명하세요.
📌 정답 및 해설
A1.
Carrier Sense는 "매체 감지"를 의미하며,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채널이 비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기능이다.
A2.
CSMA는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네트워크를 사용할 때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혼잡한 네트워크 환경에서 효율적이다.
A3.
- 송신 요청 → 2. 회선 체크 → 3. 송신 개시 → 4. 충돌 감지 → 5. 전 노드에 충돌 신호 전송 → 6. 대기 후 재전송
A4.
무선에서는 전파의 특성상 충돌을 감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충돌 감지 방식(CD)이 효과적이지 않다. 대신 충돌 회피(CA) 방식이 더 적합하다.
A5.
CSMA/CA는 무선 LAN에서 사용되며, 채널이 비어 있는지 확인한 후 일정 시간 대기하여 충돌을 회피한다.
A6.
무선 환경에서는 충돌 감지가 어렵기 때문에, 먼저 대기함으로써 충돌 자체를 방지하려는 목적이 있다.
A7.
항목 | IEEE802.3 | IEEE802.11 |
---|---|---|
전송 방식 | CSMA/CD | CSMA/CA |
환경 | 유선 LAN | 무선 LAN |
주요 사용처 | Ethernet | Wi-Fi |
충돌 처리 | 충돌 감지 후 재전송 | 충돌 회피 |
A8.
③ IEEE802.11
A9.
가장 큰 개선점은 전송 속도의 비약적 향상이다. 10Mbps → 100Mbps → 1Gbps → 10Gbps
A10.
종류 | 표준 | 매체 | 전송 거리 |
---|---|---|---|
100Base-Tx | IEEE802.3u | 카테고리 5 UTP | 약 100m |
100Base-T4 | IEEE802.3u | 카테고리 3/4 UTP | 약 100m |
100Base-Fx | IEEE802.3u | 광섬유 | 약 2km |
A11.
무선 LAN은 전파나 적외선을 전송 매체로 사용한다.
A12.
방식 | 장점 | 단점 |
---|---|---|
확산 대역 | 보안성 우수, 사물 투과 가능 | 속도가 느림 |
협대역 마이크로파 | 사물 투과 가능, 복수 LAN 공존 | 간섭 가능성 |
적외선 | 간섭 없음, 속도 빠름 | 사물 투과 불가, 범위 좁음 |
'문제: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프로토콜(문제&정답) (0) | 2025.04.18 |
---|---|
OSI7계층 (문제&정답) (0) | 2025.04.18 |
LAN의 구성요소:통신 소프트웨어(문제&정답) (0) | 2025.04.18 |
근거리 통신망(문제&답) (0) | 2025.04.18 |
데이터 링크 계층(문제&답) (0) | 2025.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