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I7계층 (문제&정답)

2025. 4. 18. 14:03문제:네트워크

 

 

Q1. OSI 7계층 중 '캡슐화'와 '캡슐 해제'에 관해 설명하세요.
Q2. OSI 7계층 중 데이터 암호화와 압축을 담당하는 계층은 무엇인가요?
Q3. 세션 계층의 기능을 설명하세요.


 

Q4.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수행하는 기능 5가지를 서술하세요.
Q5. 네트워크 계층과 전송 계층에 대해 설명하시오
Q6. 물리 계층의 역할을 서술하시오.


 

Q7. 흐름 제어란 무엇이며, 대표적인 흐름 제어 방식 2가지를 설명하세요.
Q8. 오류 제어 방식 중 'ARQ'와 'FEC'의 차이를 서술하세요.
Q9.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프레임의 앞과 뒤에 추가되는 정보는 각각 무엇인가요?


 

Q10. 송신측 DTE가 수신측 DTE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순서대로 나열하세요.
Q11. 데이터가 전송 도중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전기적 요인은 무엇이 있나요?


📌 정답 및 해설


A1.

  • 캡슐화: 송신 측에서 상위 계층의 데이터를 하위 계층으로 내려보내면서 헤더를 붙이는 과정
  • 캡슐 해제: 수신 측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각 계층별로 헤더를 제거해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과정

A2.
표현 계층 (6계층)

A3.
세션 계층은 송·수신 간 연결을 설정, 유지, 종료하는 역할을 하며, 반이중 통신, 동기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실제 구현에서는 응용 계층과 통합되거나 생략되기도 한다.

A4.

  1. 오류 제어
  2. 흐름 제어
  3. 동기화
  4. 프레임화
  5. 물리 주소 지정

A5.

  • 네트워크 계층: IP 주소 기반으로 경로를 설정하고 패킷을 전달
  • 전송 계층: 데이터를 보내기 전 마지막으로 오류 체크 및 오류 복구 하는 계층

A6.

  • 데이터를 어떻게 손실 없이 보낼지 정한다

A7.

  • 정지 대기 방식 (Stop and Wait): 데이터 하나를 보내고 ACK 수신 후 다음 데이터 전송
  • 슬라이딩 윈도 방식: 여러 개의 프레임을 미리 전송하고, 수신 측이 받은 것만 ACK

A8.

  • ARQ: 오류가 검출되면 수신 측이 송신 측에 재전송을 요청
  • FEC: 수신 측에서 자체적으로 오류를 수정, 역채널 불필요

A9.

  • 앞: 헤더 (출발지/목적지 주소)
  • 뒤: 트레일러 (에러 검출 코드 등)

A10.
① 회선 접속 → ② 데이터 링크 설정 → ③ 정보 전송 → ④ 데이터 링크 해제 → ⑤ 회선 절단

A11.
혼선, 펄스 잡음, 회선 절단, 에코 등 전기적 간섭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