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프로토콜(문제&정답)

2025. 4. 18. 14:09문제:네트워크

 

Q1. 네트워크 계층에서 사용되는 주요 프로토콜 4가지를 쓰세요.
Q2. 네트워크 계층에서 송수신 시 수행되는 핵심 작업 2가지는 무엇인가요?


 

Q3. ARP와 RARP의 기능 차이를 비교해서 서술하세요.
Q4. ARP 요청은 어떤 방식으로 네트워크에 전송되고, 응답은 어떤 방식으로 전송되나요?
Q5. arp -a 명령어를 실행하면 어떤 정보를 확인할 수 있나요?


 

Q6. 다음 상황에서 호스트가 응답하는 과정을 서술하세요.

  • A 호스트가 C 호스트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려고 한다. A는 C의 IP는 알지만 MAC 주소는 모른다.

Q7. ARP 캐시는 어떤 목적을 위해 존재하는가요?


 

Q8. ICMP는 어떤 프로토콜의 보조 역할을 하며, 어떤 목적에서 사용되나요?
Q9. ICMP 메시지는 IP 패킷 내부 어디에 위치하나요?


 

Q10. ping 명령어의 주요 기능을 3가지 쓰세요.
Q11. tracert 명령어는 어떤 원리를 이용해 경로를 추적하나요?
Q12. tracert 명령어에서 TTL이 줄어드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 정답 및 해설


A1.
IP, ARP, ICMP, IGMP

A2.

  • 상위 계층에서 받은 데이터에 IP 헤더를 추가
  • 수신 시 IP 헤더 제거 후 상위 계층으로 전달

A3.

  • ARP: IP 주소 → MAC 주소로 변환
  • RARP: MAC 주소 → IP 주소로 변환 (부팅 시 주로 사용됨)

A4.

  • ARP 요청: 브로드캐스트로 전송
  • ARP 응답: 유니캐스트로 요청한 호스트에게만 전송

A5.
인터넷(IP) 주소와 해당 주소에 매핑된 물리(MAC) 주소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A6.
C 호스트가 자신의 IP 주소가 ARP 요청의 대상과 일치함을 확인하고, 자신의 MAC 주소를 A에게 응답한다.

A7.
ARP 캐시는 IP와 MAC의 매핑 정보를 저장해 반복적인 ARP 요청을 줄여주고 성능을 높인다.

A8.
IP 프로토콜의 보조 프로토콜로, 오류 메시지 전송 및 네트워크 상태 점검을 위해 사용된다.

A9.
ICMP 메시지는 IP 패킷의 payload(데이터 부분)에 포함되며, IP 헤더 바로 뒤에 위치

A10.

  • 네트워크 연결 여부 확인
  • 응답 시간 측정
  • 패킷 손실 여부 확인

A11.
IP 패킷의 TTL(Time To Live)을 감소시키며, 각 라우터의 응답을 통해 경로를 추적

A12.
각 중간 장비(라우터)를 통과할 때 TTL이 1씩 줄어들어 결국 패킷이 소멸하며, 그 시점에서 해당 장비가 응답하여 경로를 알 수 있게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