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토콜의 기능(문제&정답)
2025. 4. 18. 14:15ㆍ문제:네트워크
- 다음 중 프로토콜의 기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a) 오류 제어
b) 순서 결정
c) 하드웨어 제조
d) 주소 설정 - 프로토콜의 다중화 기능에 대해 설명하시오.
- 다음 중 프로토콜의 구성 요소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a) 구문
b) 동기화
c) 의미
d) 타이밍 - 프로토콜의 '타이밍' 요소가 담당하는 역할은?
- ARP가 수행하는 역할로 옳은 것은?
a) IP주소를 MAC주소로 변환
b) MAC주소를 IP주소로 변환
c) 도메인을 IP주소로 변환
d) IP주소를 포트번호로 변환 - 다음 중 RARP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a) MAC주소로부터 IP주소를 알아내는 프로토콜
b) 파일 시스템이 없는 시스템에서 유용함
c) DHCP가 이를 대체하고 있음
d) 데이터링크 계층에 속하는 프로토콜이다
- ICMP의 대표적인 활용 예로 옳은 것은?
a) DNS 조회
b) ARP 변환
c) ping 명령어
d) 패킷 암호화 - ICMP의 역할은 무엇인가?
- TCP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a) 연결형
b) 신뢰성 보장
c) 실시간성 뛰어남
d) 순서 보장 - UDP의 장점으로 적절한 것은?
a) 연결이 필요하여 안정적이다
b) 데이터 순서가 반드시 보장된다
c) 전송 속도가 빠르고 실시간에 적합하다
d) 재전송 기능이 내장되어 있다 - TCP와 UDP를 비교한 내용 중 옳은 것은?
a) TCP는 비연결형, UDP는 연결형
b) TCP는 실시간 전송에 적합
c) UDP는 순서 보장이 필요할 때 사용
d) TCP는 혼잡 제어 기능을 가진다
✅ 정답 및 해설
- 정답: c) 하드웨어 제조
→ 프로토콜은 통신을 위한 소프트웨어적 약속이지 하드웨어 제작과는 관련이 없다. - 하나의 통신로를 여러 개로 분할하거나 여러 회선을 하나로 통합하여 사용하는 기능이다.
- 정답: b) 동기화
→ 동기화는 기능 항목에 해당하고, 구성 요소는 구문(Syntax), 의미(Semantic), 타이밍(Timing)이다. - 접속 객체 간의 통신 속도 조정, 메시지 순서 제어, 데이터 전송 시기 제어 등을 담당한다.
- 정답: a) IP주소를 MAC주소로 변환
→ ARP는 IP주소를 이용해 목적지 MAC주소를 알아내는 데 사용된다. - 정답: d) 데이터링크 계층에 속하는 프로토콜이다
→ 네트워크 계층에 속하는 프로토콜 - 정답: c) ping 명령어
→ ping과 traceroute는 ICMP를 사용해 네트워크 진단 및 오류 점검을 수행한다. - 전송 중 오류 발생 시 알림, 진단 및 제어 메시지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 정답: c) 실시간성 뛰어남
→ 실시간 성능은 TCP보다 UDP가 더 우수하다. - 정답: c) 전송 속도가 빠르고 실시간에 적합하다
→ UDP는 비연결형이며 빠르고 지연이 적어 게임이나 영상 스트리밍에 유리하다. - 정답: d) TCP는 혼잡 제어 기능을 가진다
→ TCP는 흐름 제어, 혼잡 제어, 순서 보장 등의 기능을 가진 신뢰성 있는 전송 프로토콜이다.
반응형
'문제: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차 점검 (1) | 2025.04.22 |
---|---|
ICMP(문제&정답) (0) | 2025.04.18 |
네트워크 프로토콜(문제&정답) (0) | 2025.04.18 |
OSI7계층 (문제&정답) (0) | 2025.04.18 |
CSMA, CSMA-CD, CSMA-CA(문제&정답) (0) | 2025.04.18 |